[그래픽뉴스] 청년도약계좌

2022-03-15 14

[그래픽뉴스] 청년도약계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운 한 청년 금융 정책에 젊은층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청년 1억 통장'이라고도 불리는 를 오늘의 그래픽 뉴스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저축계좌인데요.

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일정액을 저축하면 연 3.5% 복리에 월 최대 40만 원의 40만 원의 정부 지원금이 더해져 10년 뒤 1억 원의 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최근 청년층의 신청이 쇄도했던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성격이지만 가입 범위가 훨씬 넓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천6백만 원 이하로 가입 대상을 제한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10년간 정부 지원 혜택으로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소득구간별 정부 지원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연 소득 2천4백만 원 이하인 경우 월 최대 40만 원, 연 소득 3천6백만 원 이하엔 월 최대 20만 원, 연 소득 4천8백만 원 이하엔 월 최대 1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습니다.

연 소득이 4천8백만 원을 넘으면 정부 재정 지원 없이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가입 기간에 소득이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다른 구간의 혜택이 적용되고요.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거나 장기간 실직·휴직하는 경우, 재해를 당한 경우 등은 중도 인출과 재가입이 허용됩니다.

이처럼 장점이 많은 정책이지만,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선 풀어야 할 숙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예산입니다.

만 20~34세 취업자가 지난해 7월 기준으로 약 630만 명에 이르는데, 이들이 모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월 10만 원의 지원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최소 7조5600억 원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정부가 매년 예산 지원을 지속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또 일각에선 "중장년을 위한 상품은 없다"라는 불만이 나오는 등 세대 간 형평성 논란이 가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당초 정부가 예상했던 수요의 7.6배에 달하는 290만 명이 신청하면서 은행권의 부담이 가중됐다는 비판도 나왔는데요.

청년도약계좌가 실현 가능한 '금융 공약'이 되려면 정확한 수요 예측과 재원 준비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Free Traffic Exchange